석/박사에게 자격증이 필요한가
저는 대부분의 경우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자기 전공분야 관련해서 최신의 연구를 하고 있는 사람들인데 관련 분야의 자격증보다 학위가 더 많은 설명을 해주지 않을까요..? 그런데 저는 좀 특이한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기계공학과와 로봇학과를 전공했는데, 제 공학 석/박사 학위는 저의 데이터분석이나 머신러닝 능력을 설명해줄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함께 연구하는 분들이나 교수님이 머신러닝이나 데이터분석을 도와줄 수 없는 상황이다보니 저 스스로도 공부가 많이 필요했습니다. 제가 연구하고 있는 재활처럼 융합분야를 연구하는 대학원생들은 이런 딜레마에 자주 놓이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러다보니 제가 선택한 방법은 관련 자격증을 따는 것이었습니다. 제가 비록 비전공자이나 데이터분석과 관련한 기본 소양을 있다는 것도 증명할 겸, 공부도 할 겸 해서 시작했습니다.
자격증을 따면서 생기는 장점
예전에 학부 수업을 들으면서 한 교수님께서 하신 말씀이 인상적이라 기억하고 있습니다. 기계진동학 수업이었는데, 교수님께서 학부생들에게 배우는 지식의 수준에 대해서 말씀하시면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여러분이 회사에 가든 대학원에 진학하든 사실 여러분들에게 바라는 것은 많지 않습니다. 여러분들이 학교에서 배운 것을 바로 일에 적용할 수도 없을 것이고요. 그러니 회사나 연구실에서 여러분에게 바라는 것은 관련 지식들을 익혀서, 내가 무엇을 모르는지 알 수 있는 것. 딱 그 정도입니다."
자격증도 비슷하게 기능하는 것 같습니다. 저는 ADsP, SQL개발자와 빅데이터분석기사 자격증을 갖고 있는데, 사실 자격증을 따면서 그렇게까지 연구나 커리어에 도움이 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연구하다가 보면 정의 자체가 어려운 문제나,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할 지 막막한 경우가 생깁니다. 그런데 자격증 공부를 해놓으면 내가 어떤 형태의 알고리즘이나 평가방법을 써야할 지, 혹은 어떤 문제를 만났을 때 내가 뭘 모르는지에 대한 감이 좀 생깁니다. 관련 키워드들을 익힘으로써, 그 키워드에 해당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좀 더 잘 검색해보거나 Chat gpt에게 잘 물어볼 수 있습니다.ㅋㅋ
추천하는 자격증
보통 산업공학과나 데이터사이언스학과에서 졸업할 때 ADsP(데이터분석준전문가), 빅데이터분석기사, SQL개발자를 많이 추천한다고 하는데, 저 또한 그렇습니다. (인공지능이나 데이터분석을 전문으로 하는 연구실이 아니다보니 SQL은 쓸 일이 거의 없지만, 공부해놓는게 좋다는 현직자분의 조언을 받아 취득했습니다.) ADsP와 빅데이터분석기사는 겹치는 부분이 좀 많고 통계와 전통적 머신러닝 내용이 많이 나옵니다. 그 부분들을 공부해놓으면 통계검정에 필요한 간단한 지식들을 배울 수 있고, 다양한 모델들을 시도해 볼 수 있는 기본 공부가 되는 것 같습니다. 빅데이터분석기사는 실기도 있기 때문에, 머신러닝에 대한 공부가 처음이신 분들은 Python이나 R을 통해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방법도 익힐 수 있습니다.
SQLD(SQL 개발자) : 자격요건 없음, 필기만. SQL에 대한 기초 문법과 개념
ADsP(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 자격요건 없음, 필기만. 통계와 데이터 분석에 관한 기초지식
빅데이터분석기사 : 국가기술자격증. 4년제 대학교 졸업 또는 동등한 경력, 필기 & 실기. 통계, 데이터분석에 관한 지식과 머신러닝 알고리즘 들을 활용하는 실기시험.
저의 주관적인 난이도 순서대로 적어봤습니다. 저는 어쩌다보니 빅분기, SQLD, ADsP 순서대로 따기는 했는데 SQLD -> ADsP -> 빅데이터분석기사 순서대로 따야 시험에 붙는 경험을 통해 자신감도 얻고 내용별 연계도 좀 있어서 좋은 것 같습니다. 학부 재학중이거나 경력 4년 미만이면, 위의 두 자격증은 빅분기를 준비하는 좋은 공부가 됩니다.
추천하는 책
사실 책이 다 거기서 거기라 뭘 추천해야할지 잘 모르겠어요ㅋㅋ 기출문제와 모의고사가 많은 책이 저는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습니다. 문제를 많이 풀어봐야 도움이 되어서요. 그래서 빅분기 필기랑 실기를 다른 책으로 공부하고 그랬습니다. 그래도 상관없을 정도로 책의 종류는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것 같아요. 인터넷에 떠도는 기출문제도 빅분기 실기 공부할 때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저는 좀 귀납적으로 배우는 사람이라 그런지 문제를 많이 접해보는 게 도움이 되더라구요.
개인적으로 ADsP는 에듀윌 책이 좋았습니다. 단원별로 정리 문제도 있고 내용도 깔끔해서요. 다만 오타가 좀 있어보여서 제가 제보를 몇 개 했습니다. 다음 버전부터는 수정이 예쁘게 돼서 나올 것 같네요.
'대학원생의 짧은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D 합격 수기 (0) | 2025.03.02 |
---|---|
진학한 전공과 다른 연구 분야를 연구하게 될 때 (2) (0) | 2024.11.04 |
대학원생의 장/단점 (1) | 2024.08.27 |
대학원 면접 질문들 (0) | 2024.08.25 |
진학한 전공과 다른 연구 분야를 연구하게 될 때 (0) | 2024.08.15 |